ㅁ 도면 작성법의 필요성
◎ 설계와 제도
- 설계 : 설비를 제작시 사용 목적에 맞도록 구조,작동,기능을
세밀히 조사한 후 치수 등을 정확히 결정하는 기술
- 제도 : 설계대로 제작,조립되게 하기 위해 필요한 기계의 형상,구조,치수
등을 일정한 방법으로 표시하는 것
- 설비가 복잡해짐에 따라 설계와 제작이 동일인에 의해 이뤄지지 못한다.
따라서 설계자의 의도대로 제작,조립,작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규격이 필요하다.
- 일정한 규격에 의해 설계되고 생산된다면 생산의 능률화,품질의 향상,
제품의 호환성 확보는 물론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세밀히 조사한 후 치수 등을 정확히 결정하는 기술
- 제도 : 설계대로 제작,조립되게 하기 위해 필요한 기계의 형상,구조,치수
등을 일정한 방법으로 표시하는 것
- 설비가 복잡해짐에 따라 설계와 제작이 동일인에 의해 이뤄지지 못한다.
따라서 설계자의 의도대로 제작,조립,작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규격이 필요하다.
- 일정한 규격에 의해 설계되고 생산된다면 생산의 능률화,품질의 향상,
제품의 호환성 확보는 물론 단가를 낮출 수 있다.
◎ 참고 표준(한국 공업 규격, KS)
- KSA 0005 : 제도통칙
- KSA 0113 : 제도에 있어서 치수의 기입방법
- KSA 0108 : 제도에 있어서 치수의 허용한계 기입방법
- KSB 0401 : 치수 공차 및 끼워 맞춤
ㅁ 도면의 종류
◎ 용도상의 분류
- 제작도 : 제품 제작에 관한 모든 사항을 표시한 도면
(ex. 부품도,조립도)
- 주문도 : 주문서에 붙어 주문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제작도 전체가 들어 갈 수도 있고,
대략적인 개요를 나타낼 수도 있다. (ex. 구입검사성적서)
◎ 내용상의 분류
- 부품도 : 부품 제작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이 모두 들어간다. 치수뿐만 아니라 재질,
가공 방법 등도 들어간다
가공 방법 등도 들어간다
- 조립도 :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전체적인 치수와 부품과의 관련
치수만이 명시되면 된다.
치수만이 명시되면 된다.
- 상세도 : 특정 부분을 상세히 표시할 때 사용된다.
ㅁ 도면 작성의 기본 요소 _ 척도,글자, 선, 치수
◎ 선의 형태와 용도
- 실선
외형을 표시하는 실선은 0.3~0.8mm 이다
치수선, 치수 보조선, 지시선, 해칭선 등은 0.2mm 이하 이다.
- 파선
외형을 표시하는 실선의 1/2로 하며, 치수선 보다 굵다
- 쇄선
가는 쇄선은 0.2mm이하이다
굵은 쇄선은 0.3~0.8mm이하이다
기계 제도에 사용하는 문자는 한글, 아라비아 숫자, 로마 숫자 등이 있으며 치수,
가공방법, 표제란 및 명세표를 기입한다.
가공방법, 표제란 및 명세표를 기입한다.
문자는 고딕체로 하며, 수직 또는 75˚경사지도록 쓴다.
한글의 높이는 10mm에서 2.5mm까지로 7종이 있고,
로마 문자나 아라비아 숫자의 크기는 10mm에서 2mm까지 8종이 있다.
◎ 치수
- 제작 시 필요한 부품 형상을 표시하는 치수가 충분히 있어야 한다.
- 가장 경제적으로 부품 형상을 표시해야 한다. 단 참고 치수는 들어갈 수 있다.
- 측정 단위 표기 : 길이는 mm원칙, 치수에는 단위를 적지 않는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