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다/기초다지기] 브레드보드에 대해 배워요 -下-


안녕하세요!
거의 일주일만에 돌아온 솔다입니다ㅜㅜ

날씨가 추웠다 더웠다 습했다 건조했다
변덕이 매우 심한데요

덕분에 몇일 몸져 누워있다가 부활했습니다

오늘은 브레드보드의 연결방법에 대해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

우선 기본중의 기본 LED 켜는 회로!


배터리, 330Ω 저항, LED로 구성된
가장 간단한 LED 구동 회로입니다

배터리의 +극을 따라가면 전원부에 도달하게 되는데요
색상으로 극성표시가 되어있지 않아
편의상 윗줄을 +극으로 연결했습니다

그대로 따라가보면 연결부의 저항으로 연결됩니다
저항은 연결부의 중앙선을 넘어 반대쪽 연결부로 꽂히고
LED의 애노드(+극)에 도달하게 됩니다

LED 애노드의 반대쪽 캐소드(-극)은 이웃한 선에 꽂힙니다

캐소드가 꽂힌 선을 따라가다보면
점퍼와이어를 통해 연결부의 중앙선을넘고

계속 선을 따라 내려가보면 전원부의 아랫줄
즉 -극에 연결됩니다

다시 전원부를 따라 쭉~ 왼쪽으로 가보면
드디어 배터리의 -극에 도달합니다

간단한 회로지만 글로 표현하니까 장황해졌네요^^;

회로가 완벽히 폐쇄되었고 단선도 없으니
LED는 켜지게 됩니다

-

그렇다면 직렬 회로는 어떻게 연결할까요??

저항을 통해 직렬 회로를 구성해봅시다


LED 회로에서 크게 바뀐점은 없습니다

눈에띄게 바뀐점이라면 저항이 3개로 늘었습니다

아까는 330Ω 저항을 사용했다면
이번에는 110Ω저항 3개를 직렬로 연결해서
아까와 같은 330Ω으로 사용했는데요

아까와 같은 요령으로 배터리의 +극부터 쫒아가보면

첫번째 저항에 연결되고
그 저항을 통해 나온 선이 다음 저항에 연결되고
그 저항을 통해 나온 선이 다음 저항에 연결되고
그 저항을 통해 나온 선이 LED의 애노드에 연결됩니다

리을자로 연결된다고 생각하시면 간단합니다

-

병렬회로는 직렬회로보다도 간단합니다


짠~!

저항이랑 배치가 좀 바뀌었는데요
우선 330Ω을 얻기 위해 1kΩ 3개를 병렬연결했습니다
(정확히는 333.3333…Ω입니다)

배터리의 +극부터 손을 짚어 다시 쫒아가봅시다

점퍼선을 만나 저항을 만나는데
저항 3개가 나란히 1열에 연결되어있구요
저항을 건너서도 나란히 1열에 연결되어있습니다

저항을 건넌 후 LED의 애노드핀으로 연결되는데요

실제로 회로를 구성해보면 위에서 구성했던
두 회로들과 비슷한 밝기로 켜집니다

-

자~ 아주아주 급속으로 브레드보드 회로 구성하는법을 배워봤는데요

최대한 간단하게 설명드리려고 노력했는데
잘 전달 되었을지 모르겠습니다ㅎㅎ

다음에는 더욱 쉽고 유익한 정보로 만나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