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다/기초다지기] 저항값을 읽어봤어요 -막대저항편-


안녕하세요
디바이스마트의 대문호 솔다입니다

오늘은 저항값 읽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초중의 기초지만 많이 헷갈리실 수 있기때문에
확실하게 개념을 잡고 가실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사실 저항값 읽기의 표준은 저항뿐만이 아니라
다른 전자부품들도 사용하는 표준입니다

[Electronic color code]라고 하는데요
이 색상 코드를 숙지하셔야 저항값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우선 색상코드보다 자릿수 순서에 대해 알아봅시다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Electronic_color_code

위에 저항 그림을 보면 색띠가 4줄이 그어져 있는데요

금색/은색이거나 다른줄에 비해 한쪽에 치우쳐져 있는 띠를
오른쪽으로 했을때를 기준으로 합니다

첫번째 띠, 10의 자릿수를 의미합니다
두번때 띠, 1의 자릿수를 의미합니다
세번때 띠, 10의 배수를 의미합니다
네번때 띠, 오차를 의미합니다

이렇게만 써 놓으면 알수가 없겠죠?

색상코드까지 알아본 후 저항값을 한번 읽어봅시다

Ring color Significant figures Multiplier Tolerance Temperature coefficient
Name Code RAL Percent [%] Letter [ppm/K] Letter
None ±20 M
Pink PK 3015 ×10−3[3] ×0.001
Silver SR ×10−2 ×0.01 ±10 K
Gold GD ×10−1 ×0.1 ±5 J
Black BK 9005 0 ×100 ×1 250 U
Brown BN 8003 1 ×101 ×10 ±1 F 100 S
Red RD 3000 2 ×102 ×100 ±2 G 50 R
Orange OG 2003 3 ×103 ×1000 ±0.05[3] W 15 P
Yellow YE 1021 4 ×104 ×10000 ±0.02[3][nb 1][5] P 25 Q
Green GN 6018 5 ×105 ×100000 ±0.5 D 20 Z[nb 2]
Blue BU 5015 6 ×106 ×1000000 ±0.25 C 10 Z[nb 2]
Violet VT 4005 7 ×107 ×10000000 ±0.1 B 5 M
Grey GY 7000 8 ×108 ×100000000 ±0.01[3][nb 3][nb 1][5] L (A) 1 K
White WH 1013 9 ×109 ×1000000000

어지러우시죠? ㅋㅋㅋㅋ

여기서 핵심만 짚고 가겠습니다
각 색상은 숫자와 대응됩니다
이것만 기억해주시면 됩니다

밑의 표를 봐주세요

한글명
검정
갈색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보라
회색
흰색
한자명
흑 黑
갈 褐
적 赤
등 褐
황 黃
녹 綠
청 靑
자 紫
회 灰
백 白
숫자
0
1
2
3
4
5
6
7
8
9

보기 편하죠?
각각의 색이 숫자와 대응된다는 말이 이런 뜻입니다
물론 매번 이 표를 볼 수는 없으니 외우셔야합니다

'검갈빨주노초파보회흰'이든
'흑갈적등황녹청자회백'이든
본인이 편한데로 외워줍시다

이러면 벌써 저항값을 읽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까 위에 예시로 나왔던 저항을 다시 볼까요?


자, 우선 저항의 고유 값만 읽을 것이기 때문에
뒤에 1줄은 무시합시다

앞의 세줄만 보면 왼쪽부터 순서대로
빨강, 보라, 초록
순서인데요

한번 순서대로 색상코드를 대입해봅시다
2, 7, 5
275로 읽히네요

그럼 저항값은 275Ω일까요?

물론 아닙니다

위에서 잠깐 보고 왔듯이 10의 자리 배수인데요
이게 무슨뜻이냐면 이번처럼 3번째 자릿수는
10의 n승으로 보시면 됩니다
위에 영어표에 나와있듯이 말이죠

그럼 녹색은 10의 5승이므로
숫자로는 100,000이 되겠네요

10의 몇승이다 뭐다 외우기 힘드시면
뒤에 붙이는 0의 갯수라고 생각해주세요

배수도 알았겠다 1번띠 2번띠를 합한 숫자와 곱해줍니다
27 × 100,000 = 2,700,000Ω

이백칠십만옴이었군요
하지만 SI단위계를 사용하기때문에
이백칠십만옴으로 읽지 않습니다
가장 짧아질때까지 SI접두어를 적용시켜봅시다
우선 킬로먼저

2,700k
(이천칠백킬로옴)
나름대로 짧아졌지만 한번 더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엔 메가로 줄여볼까요?

2.7M
(이쩜칠메가옴)
이제야 가능한 한 가장 짧게 표현되었네요

여기까지가 막대저항의 저항값을 읽는 방법입니다
쉽죠?
·
·
·
뭔가 빼먹은게 있는거 같네요

바로 4번째 띠인데요
4번때 띠는 오차를 의미합니다

저항을 만들 때 항상 정밀하게 만들면 좋겠지만
정밀도를 포기하고 가격이 저렴하게 생산할 수도 있겠죠?

자 아무튼 오차는 세가지만 기억해주시면 됩니다

한글명
은색
금색
갈색
한자명
은 銀
금 金
갈 褐
오차범위
±10%
±5%
±1%

물론 위의 표도 외워줍시다

위의 2.7MΩ의 저항 4번째 띠는 금색이었는데요
그럼 해당 저항의 저항값을 실제로 측정해봤을 때
2.565M~2.835M
사이의 값이 측정되는걸 확인하실 수 있으실겁니다

위의 세가지 색 말고도 다른 색들도 오차를 표현하기는 합니다
하지만 많이 사용되지는 않기때문에 생략했습니다
만일 보다 정밀한 저항을 사용하신다면 상단의 영어표를 참고해주세요

-

여기까지 저항값 읽기에 대해 배워봤습니다

읽는 법 자체는 어렵지 않지만 색상별로 숫자를 외워야해서
익숙해지지 않으셨다면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디지키에서 저항띠 읽는 웹페이지를 운영하고있습니다
여기를 참고해주시면 저항값을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앙~ 저항띠~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