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디바이스마트의 얄개 솔다입니다
일회용 건전지는 1차 전지라고도 하는데요
이름처럼 한번쓰고 재충전이 불가능한 배터리입니다
배터리 하면 리모콘 배터리 많이 떠올리실거고
무선마우스를 사용하신다면 무선마우스 배터리도 많이 사용하실건데요
보통 배터리는 AA나 AAA를 많이 사용하시죠?
저런 알파벳 이름을 배터리 규격이라고 하는데요
이번시간에는 규격이 아닌 소재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망간? 알카라인?
이런 단어 들어 보셨나요??
둘 다 배터리 소재입니다
배터리 광고에서 알카라인을 강조하는 걸 보면
뭔가 알카라인이 더 좋아보이기도 하는데요
두가지 소재가 어떤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먼저 망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망간이란?
망가니즈의 독일식 발음인데요
원자번호 25번 원소입니다
생소하죠? ㅎㅎ
망간배터리의 또다른 이름은 Zinc–carbon battery입니다
직역하면 아연-탄소 배터리인데요
전해질로 염화 암모늄 또는 염화 아연을 사용합니다
음극에 아연, 양극 의 이산화망간을 사용하여
아연-이산화망간 합성 반응으로
전기가 발생하는 원리이기 때문입니다
망간 배터리는 1.5V 전압을 가집니다
위 사진은 낚시터용이나 방범용, 비상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랜턴용 배터리입니다
망간 배터리이지만 저 배터리는 6V인데요
이는 내부적으로 1.5V 배터리 4개를 직렬로 연결해놨기 때문입니다
망간 배터리의 가장 큰 특징은
낮은 출력 전류입니다
출력이 낮다는 건 특징이라기보단 단점이 아닐까요?
라고 하시는 분들도 계실건데요
단점이라면 단점일 수 있지만
역으로 생각해보면 전류를 적게 소모하는 제품에 사용하면
출력이 높은 배터리에 비해 방전율이 낮아
오래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들면 리모콘이나 시계처럼 꾸준하게
적은 전류를 소모하는 데에 적합하다는 말입니다
-
그렇다면 알카라인은 어떤 소재인지 알아볼까요?
알카라인이란?
알카라인(Alkaline)은 '알칼리의'라는 뜻입니다
알칼리는 염기이므로 결국 '염기성의'라는 뜻입니다
'염기성의 배터리'라는 뜻이었네요
이름을 풀어봤지만 와닿지는 않습니다
왜 염기성의 배터리라는 이름이 붙었냐면
전해질로 염기성인 '수산화 칼륨'을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알카라인 전지도 아연-이산화망간 합성 반응을 사용하기 때문에
동일한 전압인 1.5V가 출력됩니다
따라서 알카라인 전지에도 음극에 아연이 포함되어있고
양극은 역시 이산화망간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름을 이렇게 지어놔서 괜히 헷갈리게 만드네요...
아무튼 알카라인 전지의 특징은
망간 전지에 비해 용량이 크고
출력도 크다
크면 좋고 많으면 좋잖아요?
한마디로 성능이 준수합니다(망간에 비해)
따라서 비교적 높은 출력을 요구하는 장치에 사용됩니다
예를들면 전기 파리채나
시끄럽게 울리는 알람시계 처럼요
-
망간과 알카라인... 이 끝이 아닙니다
일회용배터리중에 끝판왕이 리튬배터리가 남았습니다
리튬배터리는 충전지 위주로 사용되어
일반적으로는 사용할 일은 없지만
동전형 배터리에 리튬이 사용되기 때문에 짚고 가겠습니다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B%8B%A8%EC%B6%94%ED%98%95_%EC%A0%84%EC%A7%80
단추형 전지라고도 부르고 이름은 다양한데요
원래는 수은을 소재로 많이 이용했어서 수은 배터리라고도 합니다
물론 지금은 산화은이나 리튬으로 대체되어 오명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아무튼 리튬배터리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리튬을 음극소재로 한 배터리입니다
특수한 산업용전지가 아니라면 리튬배터리도
양극은 이산화망간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설계하기에 따라 1.5V ~ 3.7V의 전압을 가질 수 있는데
주된 전압은 3V입니다
동전형 말고도 일회용 리튬배터리의 형태는 다양합니다
특징으로는 망간, 알카라인보다 높은 전류출력과
높은 용량, 2배의 달하는 전압 등 킹왕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가격도 킹왕짱)
-
일회용건전지의 소재에 대해 배워봤는데요
이제 망간과 알카라인 어떤배터리를
어디다가 사용하면 좋을지 다들 아시겠죠?
일회용 건전지 이제 알고 쓰도록 해요~
직역하면 아연-탄소 배터리인데요
전해질로 염화 암모늄 또는 염화 아연을 사용합니다
음극에 아연, 양극 의 이산화망간을 사용하여
아연-이산화망간 합성 반응으로
전기가 발생하는 원리이기 때문입니다
망간 배터리는 1.5V 전압을 가집니다
위 사진은 낚시터용이나 방범용, 비상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랜턴용 배터리입니다
망간 배터리이지만 저 배터리는 6V인데요
이는 내부적으로 1.5V 배터리 4개를 직렬로 연결해놨기 때문입니다
망간 배터리의 가장 큰 특징은
낮은 출력 전류입니다
출력이 낮다는 건 특징이라기보단 단점이 아닐까요?
라고 하시는 분들도 계실건데요
단점이라면 단점일 수 있지만
역으로 생각해보면 전류를 적게 소모하는 제품에 사용하면
출력이 높은 배터리에 비해 방전율이 낮아
오래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들면 리모콘이나 시계처럼 꾸준하게
적은 전류를 소모하는 데에 적합하다는 말입니다
-
그렇다면 알카라인은 어떤 소재인지 알아볼까요?
알카라인이란?
알카라인(Alkaline)은 '알칼리의'라는 뜻입니다
알칼리는 염기이므로 결국 '염기성의'라는 뜻입니다
'염기성의 배터리'라는 뜻이었네요
이름을 풀어봤지만 와닿지는 않습니다
왜 염기성의 배터리라는 이름이 붙었냐면
전해질로 염기성인 '수산화 칼륨'을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알카라인 전지도 아연-이산화망간 합성 반응을 사용하기 때문에
동일한 전압인 1.5V가 출력됩니다
따라서 알카라인 전지에도 음극에 아연이 포함되어있고
양극은 역시 이산화망간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름을 이렇게 지어놔서 괜히 헷갈리게 만드네요...
아무튼 알카라인 전지의 특징은
망간 전지에 비해 용량이 크고
출력도 크다
크면 좋고 많으면 좋잖아요?
한마디로 성능이 준수합니다(망간에 비해)
따라서 비교적 높은 출력을 요구하는 장치에 사용됩니다
예를들면 전기 파리채나
시끄럽게 울리는 알람시계 처럼요
휴먼, 지금 잠이 옵니까?
-
망간과 알카라인... 이 끝이 아닙니다
일회용배터리중에 끝판왕이 리튬배터리가 남았습니다
리튬배터리는 충전지 위주로 사용되어
일반적으로는 사용할 일은 없지만
동전형 배터리에 리튬이 사용되기 때문에 짚고 가겠습니다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B%8B%A8%EC%B6%94%ED%98%95_%EC%A0%84%EC%A7%80
단추형 전지라고도 부르고 이름은 다양한데요
원래는 수은을 소재로 많이 이용했어서 수은 배터리라고도 합니다
물론 지금은 산화은이나 리튬으로 대체되어 오명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아무튼 리튬배터리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리튬을 음극소재로 한 배터리입니다
특수한 산업용전지가 아니라면 리튬배터리도
양극은 이산화망간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설계하기에 따라 1.5V ~ 3.7V의 전압을 가질 수 있는데
주된 전압은 3V입니다
동전형 말고도 일회용 리튬배터리의 형태는 다양합니다
특징으로는 망간, 알카라인보다 높은 전류출력과
높은 용량, 2배의 달하는 전압 등 킹왕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디바이스마트에서 판매중인 AA 1.5V 리튬배터리
가격이...꽤 나간다
-
일회용건전지의 소재에 대해 배워봤는데요
이제 망간과 알카라인 어떤배터리를
어디다가 사용하면 좋을지 다들 아시겠죠?
일회용 건전지 이제 알고 쓰도록 해요~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