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디바이스마트의 얄개 솔다입니다
지난시간에는 일회용 배터리 중에서도
원통형과 사각 배터리에 대해서만 다뤘는데요
이번에는 코인배터리에 대해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코인배터리, 동전형 건전지, 단추형 배터리, 수은전지
버튼형 전지, 코인셀 배터리
이름이나 별명이 참 다양한데요
위키피디아에선 '단추형 전지'를 표준으로 해놨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코인배터리'로 용어를 통일하도록 하겠습니다
출바알~
-
어떻게 생겼길래 '코인배터리'라고 불리는가 한번 보고갈까요?
쟁반같이 생기기도 했고 어쩐지 UFO가 떠오르는 모양인데요
동전같다면 동전같고 단추같다면 단추같기 때문에
다양하게 불리는 이유를 알 것 같습니다
-
코인배터리의 규격은 소재와 사이즈로 정해집니다
망간/알카라인으로 확연하게 나뉘었던 다른 배터리와 다르게
소재가 8가지나 되는데요
다행히 주로 사용하는 규격은 세가지정도로 좁혀집니다
그래도 모든 소재를 한번 보고 가시겠습니다
문자코드
|
통칭
|
양극
|
전해질
|
음극
|
명목상
전압
|
종점 전압
|
L
|
알카라인
|
이산화 망간
|
알칼리
|
아연
|
1.5 V
|
1 V
|
S
|
산화은
|
산화 은(I)
|
알칼리
|
아연
|
1.55 V
|
1.2 V
|
P
|
아연공기
|
산소
|
알칼리
|
아연
|
1.4 V
|
1.2 V
|
C
|
리튬
|
이산화 망간
|
유기
|
리튬
|
3 V
|
2 V
|
B
|
일플루오르화 탄소
|
유기
|
리튬
|
3 V
|
2 V
| |
G
|
산화구리
|
유기
|
리튬
|
1.5 V
|
1.2 V
| |
Z
|
옥시수산화 니켈 전지
|
이산화망간, 옥시 수산화니켈
|
알칼리
|
아연
|
1.5 V
|
불명
|
M
|
수은
|
산화 수은(II)
|
알칼리
|
아연
|
1.35 V
|
1.1 V
|
N
(withdrawn)
|
수은
|
산화 수은(II)
|
알칼리
|
아연
|
1.4 V
|
1.1 V
|
종점전압은 배터리가 다 닳았을 때의 전압을
대략적으로 수치화 한 전압입니다
회색으로 칠한 소재는 흔히 쓰이지 않습니다
알카라인, 산화은, 리튬이 주로 사용되는데요
우선 알카라인은 앞서 배운 배터리와 동일한 구성입니다
그래서 전압도 1.5V로 동일하구요
'산화은'은 독특하게 1.55V를 출력합니다
특수목적으로 사용해서 많이 쓰지는 않지만
그래도 알카라인과 크게 차이나지 않는 전압이라 판매되고있습니다
리튬은 동전형 전지에서도 역시 킹왕짱인데요
무려 3V라는 알카라인의 2배에 달하는 전압입니다
실제로 쓰는 소재는 이정도이고
리튬 > 알카라인 > 산화은
정도로 많이 사용됩니다
맨 밑에 수은 소재 배터리는 두가지인데요
인체 유해성 문제로 오늘날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마마~ 우우우~
수은 하면 프레디 형님이 생각나네요
치명적이라는 점이 똑같죠?
-
이번에는 코인배터리의 크기에 대해 배워봅시다
위 표는 코인배터리의 직경코드표 입니다
읽는 법을 설명 드리기 앞서 코인배터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격인
숙달된 조교 'CR2032'를 모시겠습니다
대략적으로 수치화 한 전압입니다
회색으로 칠한 소재는 흔히 쓰이지 않습니다
알카라인, 산화은, 리튬이 주로 사용되는데요
우선 알카라인은 앞서 배운 배터리와 동일한 구성입니다
그래서 전압도 1.5V로 동일하구요
'산화은'은 독특하게 1.55V를 출력합니다
특수목적으로 사용해서 많이 쓰지는 않지만
그래도 알카라인과 크게 차이나지 않는 전압이라 판매되고있습니다
리튬은 동전형 전지에서도 역시 킹왕짱인데요
무려 3V라는 알카라인의 2배에 달하는 전압입니다
실제로 쓰는 소재는 이정도이고
리튬 > 알카라인 > 산화은
정도로 많이 사용됩니다
맨 밑에 수은 소재 배터리는 두가지인데요
인체 유해성 문제로 오늘날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마마~ 우우우~
수은 하면 프레디 형님이 생각나네요
치명적이라는 점이 똑같죠?
-
이번에는 코인배터리의 크기에 대해 배워봅시다
숫자코드
|
표기직경
|
허용오차
|
4
|
4.8 mm
|
±0.15 mm
|
5
|
5.8 mm
|
±0.15 mm
|
6
|
6.8 mm
|
±0.15 mm
|
7
|
7.9 mm
|
±0.15 mm
|
9
|
9.5 mm
|
±0.15 mm
|
10
|
10 mm
|
±0.20 mm
|
11
|
11.6 mm
|
±0.20 mm
|
12
|
12.5 mm
|
±0.25 mm
|
16
|
16 mm
|
±0.25 mm
|
20
|
20 mm
|
±0.25 mm
|
23
|
23 mm
|
±0.50 mm
|
24
|
24.5 mm
|
±0.50 mm
|
44
|
5.4 mm
|
±0.50 mm
|
위 표는 코인배터리의 직경코드표 입니다
읽는 법을 설명 드리기 앞서 코인배터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격인
숙달된 조교 'CR2032'를 모시겠습니다
메인보드의 메모리 보조전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CR2032입니다.
배터리에 규격과 전압이 써있는데요
이걸 읽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편의상 '/'로 구분지었습니다
C / R / 20 / 32
맨 앞의 'C'는 소재를 뜻합니다
표를 보면 리튬이란걸 알 수 있겠네요
'R'은 정확한 의미를 알 수 없으나 IEC의 프리픽스 문자입니다
20은 위의 직경표를 참고해주셔야 합니다
20mm의 직경이라는 뜻이네요
32는 '×0.1'을 해주셔야 합니다
그럼 3.2mm 라는 높이가 나옵니다
한꺼번에 보면
'직경 20mm의 높이 3.2mm인 리튬배터리다'
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는 위처럼 읽으면 되지만
레이저포인터나 초소형라디오같은데에 사용되는
LR44같은 표기도 있습니다
굳이 나눠보면
L / R / 44
로 나뉘는데요
알카라인 배터리인데...
사이즈는 도통 감이 안오시죠?
이건 수은배터리 규격때문에 발생한 혼란인데요
예전에는 IEC규격이 아닌 수은전지만의 규격을 사용했는데
이게 수정되지 않고 관용적으로 사용하다보니 규격표기가
중구 난방으로 되어버렸습니다
사이즈 확인은 이하의 표를 참고해주세요
코드
|
사이즈
(직경 × 높이)
|
대응규격
|
AG1
|
6.2mm × 2mm
|
364A
CX60
164
LR621W
SR621
|
AG4
|
6.8mm x 2.6mm
|
626A
377A
177
CX66W
LR626
|
AG3
|
8mm x 4mm
|
392A
CX41
SR41
LR41W
192
|
AG7
|
9mm x 2mm
|
395A
CX57
195
LR927W
SR927
|
AG10
|
11mm x 3mm
|
389A
CX189
LR1130W
SR1130
|
AG13
|
11mm x 5mm
|
357A
CX44
LR44W
186
|
AG12
|
11.6mm x 4.2mm
|
386A
CX185
LR43W
|
코드 보시면 숫자가 순서대로 나열되어있지 않은데
이는 사이즈를 기준으로 표기했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위 표를 참조하면 LR44는
'직경 11mm의 높이 5mm인 알카라인배터리다'
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겠습니다
이제 수은배터리 규격때문에 당황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여기까지 코인배터리에 대해 배워봤습니다
규격이 너무 많아서 다 나열하지는 못하고
읽는 방법까지만 알려드렸는데요
코인배터리 구분하는 데에는 충분하실거라고 생각됩니다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MAMA~ UUW~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