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다/기초다지기] 브레드보드에 대해 배워요 -上-


안녕하세요!
디바이스마트의 얄개 솔다입니다

오늘은 브레드보드에 대해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브레드보드란 무엇인가?


빵집에 가면 집게와 함께 있는 쟁반!
.
.
.
...은 당연히 아니구요



이렇게 생긴 물건(?)입니다


전자와 관련 없으시거나 사용해본적 없으신 분들은
어떤 용도로 사용하는지 도통 감이 안잡히실텐데요


회로는 보통 납땜을 통해 작업을 합니다
부품 기판에 배치하고 납으로 고정 및 연결을 해주는데요

브레드보드를 사용하면 납땜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회로구성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말이죠

먼저 브레드보드에 어원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Bread board라는 스펠링을 보면 쉽게 연상되실건데요

빵을 썰때 사용하던 도마에 못이나 철사 등으로 부품을 고정해서
임시로 사용했던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출처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1920s_TRF_radio_manufactured_by_Signal.jpg

브레드보드의 어원을 알아보았으니
이번에는 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브레드보드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연결부와 전원부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연결부 먼저 보면 구멍이 왼쪽 오른쪽 5칸씩
총 30줄로 구성 되어있는데요

확대된 부분을 보시면 저렇게 5칸이 서로 연결되어있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밑에 '각각 독립된 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5칸씩의 구멍은 서로 연결 되어있으나
녹색줄과 파란줄은 연결이 안 되어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브레드보드에 정 가운데 깊은 홈이 있는데요
저 홈을 기준으로 오른쪽 5칸과 왼쪽 5칸은
같은줄이라도 연결이 되어있지 않습니다

이런 구조를 이용해서 납땜 없이 회로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전원부는 연결부와는 다르게 세로로 전부 연결이 되어있는데요

직류 회로 기준으로 빨간색은 VCC용
검정색은 GND용 라인입니다

연결부와 크게 다른점이라면
구멍이 5칸씩 띄엄띄엄있지만
세로로 전부 연결이 되어있다는 점 입니다

전원부가 따로 없다면 전원 분배에 많은 라인이 필요하기때문에
전원연결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있는 부분입니다

때때로 전원부가 없는 브레드보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오늘 배운 브레드보드의 구조를 한눈에 보자면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File:Breadboard-144dpi.gif

위와 같은 구조로 보시면 되시겠습니다

여기까지 브레드보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브레드보드 실전 연결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시간에 만나요~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