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 시작] 아두이노 통합개발환경(IDE) 설치 방법 및 세팅



안녕하세요. 디바이스마트 대짜이찐입니다.

아두이노 기초 관련 글의 시작! 아두이노 통합개발환경(IDE) 설치 방법부터 시작하겠습니다.

(모든 글은 아두이노 우노를 기초로 작성됩니다.)






아두이노 통합개발환경(IDE)


아두이노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는

아두이노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컴파일 할 수 있는 통합 개발 환경입니다.





아두이노 공식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두이노 통합개발환경(IDE) 설치


아두이노 통합환경은 아두이노 공식 홈페이지(https://www.arduino.cc)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아두이노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신후 SOFTWARE-DOWNLOADS를 클릭해 주세요.



Download the Arduino IDE 부분에서 각자
운영체제의 알맞은 버전의 파일을 선택해서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제가 다운로드 받을 시점에서 최신 버전은 1.8.8입니다.



파일을 선택하시면 아두이노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부를 권하는 창이 뜹니다.

기부를 하지 않으시려면 JUST DOWNLOAD를 클릭하시면 다운로드 됩니다.



아두이노 통합개발환경(IDE) 구조

아두이노 통합 개발 환경은 스케치(Sketch)라고도 부릅니다.
아두이노 스케치의 구조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스케치 프로그램은 메뉴바, 툴바, 에디터, 콘솔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메뉴바(Menu bar)는 파일, 편집, 스케치, 툴 등을 표시하고 설정 할 수 있습니다.
-툴바(Tool bar)는 왼쪽부터 순서대로 확인, 업로드, 새파일, 열기, 저장 그리고
시리얼 모니터를 빠르게 실행 할 수 있습니다.
-에디터(Editor)는 코드 소스를 작성하는 공간입니다.
-콘솔(Console)은 에러 메시지등의 프로그램 상태를 나타내는 공간입니다.



아두이노 통합개발환경(IDE) 기본 세팅




스케치(IDE)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첫째로 스케치 환경에서 아두이노 보드(Board)와 포트(Port)를 맞춰줘야 합니다.




첫번째로 보드를 선택하는 방법은
메뉴바-툴-보드-Arduino/Genuino Uno 보드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두번째 포트 선택하는 방법은
메뉴바-툴-포트에서 아두에노에 해당하는 COM 포트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만약 정식 보드가 아닌 호환보드라면 포트 뒤에 (Arduino/Genuino Uno)가 적혀 있지 않습니다. (참고해 주세요)



아두이노 예제 실행 하기
 

아두이노 기본 설정이 끝났으니 스케치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간단한 기본 예제를 실행해 보겠습니다.

 


메뉴바-파일-예제-01.Basics-Blink를 눌러주세요.
해당 예제는 아두이노 13번핀과 연결되어 있는 LED가 1초 간격으로 깜박이는 예제입니다.



예제 소스를 열으셨다면 툴바(Tool bar)에 있는 확인버튼을 눌러주세요. 
소스코드에 문제가 없다면 콘솔창(Console)에서 컴파일이 완료 되었다고 표시 할겁니다.
이 작업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소스코드를 0과 1뿐인 기계어로 변환해주는 작업으로 컴파일이라고 합니다.


컴파일이 완료되었다면, 메뉴바에 있는 업로드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 작업을 해야 우리가 짠 소스를 아두이노에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문제가 없다면 아두이노에서 13번 LED가 1초 간격으로 깜박거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