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대짜이찐입니다.

오늘은 mbed에 대해 얘기해보려 합니다.
Mbed란 ARM사의 Cortex-M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연결 장치를 위한 플랫폼 및 운영 체제입니다.

아두이노와 비슷한 플랫폼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의외로 시작은 2005년으로 아두이노 보다 먼저 시작했지만
아두이노 만큼 활성화 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강력한 MCU의 성능으로 아두이노 보다 성능이 좋으며,
아두이노 만큼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mbed는 여러 제조사에서 150가지 이상의 보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저는 NUCLEO-F103RB 제품을 사용했습니다.
Cortex-M3를 사용하고, 아두이노 우노 쉴드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점이 장점입니다.
핀맵 | ||

아두이노 호환 헤더소켓의 핀맵입니다.


STM32F103 핀헤더 핀에 대한 핀맵입니다.


예제 | ||

https://www.mbed.com/en/
mbed 홈페이지로 이동해주세요.

상단에 있는 사람모양 이미지에서 Log in / Sign up을 클릭하여
회원 가입 및 로그인을 해줍니다.
그 후 노란색으로 표시된Compiler를 클릭하여
mbed Workspace Management로 들어갑니다.

이후 오른쪽에 있는 No device selected를 클릭하여

Select a Platform창을 불러옵니다

하단에 있는 Add Board 아이콘을 클릭하여
사용할 mbed보드를 추가해 보겠습니다.

사용할 보드인 NUCLEO-F103RB보드를 검색하여 제품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오른쪽에 있는 Add to your Mbed Compiler 이미지를 클릭해 준후
Workspace Management 창으로 돌아가면

Select a Platform창에서 제품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간단한 정보도 확인가능합니다.

왼쪽에 있는 NEW 버튼을 클릭합니다.

Create new program 창에서 Platform을 확인해주시고,
Template에서 Blinky LED Hello World를 선택해 준 후
OK 버튼을 눌러주세요.

main.cpp 파일에서 myled(LED1) 부분을
myled(PA_9)로 변경해주세요.
(아두이노 호환 소켓으로 D8에 해당하는 핀입니다)

이후 Compile 버튼을 눌러주시면,

컴파일 되면서 bin파일로 변환시켜서 저장합니다.

이제 보드를 PC와 연결시켜 줍니다. NUCLEO보드는
미니 USB 5pin을 사용합니다.

mbed 드라이브가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후 아까 다운 받은 bin 파일을 예제에 적용합니다.
제대로 동작되네요.
mbed제품은 디바이스마트에서 구매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devicemart.co.kr/goods/view?no=1346033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