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형모터의 선정




1.  소형  모터의  선정



  (1)  소형  모터의  선정  순서


  구동 장치에 적합한 모터를 선정하기 위한 순서를 설명한다.


  (가)  요구 사양의 확인
  장치의 종류,  크기와 Work의 질량,  이송 속도,  단속 동작 등을 확인한다.

  (나)  모터의 기종 선정
  요구 사양을 만족하는 기능을 가진 모터를 선정한다.

  (다 감속비 확인
  필요한 회전수를 구하고,  감속기 부착 감속비를 결정한다.

  (라)  부하 토크 계산
  출력축에 필요한 토크를 구하고,  제품 카탈로그에서 확인한다.

  (마)  기동 토크 확인
  출력축에 필요한 토크로부터 모터에 필요한 토크로 환산,  기동 토크 값을 비교한다.

  (바)  허용 부하 관성 모멘트 확인

  (사)  모터 결정


  (2)  모터의  기종  선정


  모터의  정속  회전,  속도  변환,  정역  회전  전환,  순간  정지,  정지    부하  유지  등의  조건으
  선정한다.

  (가)  모터의 정속 회전 :  Induction  모터

  (나)  모터의 변속 회전 :  AC  Speed  Control  모터

  (다)  모터의 순간적으로 정역 회전 전환 :  Reversible  모터

  (라)  모터의 순간적으로 정역 회전 전환 정지 부하유지 :  전자 브레이크 부착 모터


  (3)  감속비  확인


  (가)  모터축의 필요 출력 회전수

   모터 적용 기구에서  Work 이송 속도에서 모터 출력축의 필요한 회전수를 구한다.

기구 이동 속도와 출력 회전수 관계

  (나) 벨트 풀리, 랙과 피니언 구동 구조에서 모터 축의 필요 출력 회전수

   모터 적용 기구에서  Work 이송 속도에서 모터 출력축의 필요한 회전수를 구한다.


    Work는 1회전에 풀리(피니언)의 원주만큼 이동하므로 이송속도에 원주를 나누면
    회전 속도를 구할 수 있다. 

 (다) 볼나사 구동 구조에서 모터 축의 필요 출력 회전수


     Work는 1회전에 볼나사의 리드 피치(Lead pitch) 만큼 이동하므로 이송속도에 
     리드피치를 나누면 회전 속도를 구할 수 있다.

 (라) 회전 구동 구조에서 모터 축의 필요 출력 회전수

 (마) 감속기 선정 


    출력축의 필요 회전수가 확인되면, 모터의 정격 회전수를 확인하여 감속비를 정하고
    감속기를 선정한다. 
    감속기는 종류, 설치 자세, 모터와 연결 조건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4) 부하 토크 계산 

부하 토크는 각 기구 적용 조건에 맞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부하에 걸리는 힘은 마찰력과 외력이 있으며, 수직 구동 시 중력이 작용한다.







(5)  기동  토크  확인

  감속기의  감속비  i   감속기  전달  효율  η로부터,  모터에  필요한  토크를  구한다.
     값이 모터의 기동 토크 내에 있는지를 제품 카탈로그에서 확인한다.




모터 축의 필요 토크 TM < 모터 기동 토크 TL을 확인한다. 

모터 축의 필요 토크 TM ≥ 모터 기동 토크 TL 인 경우, 모터는 회전을 할 수 없다.



 (6)  허용  부하  관성  모멘트  확인


 물체를 움직이거나 멈출 때에, 무거운 것일수록 큰 힘이 필요해집니다.

 회전의 경우 회전시키거나 멈출 때에는 무거운 것, 회전 중심에서의 거리(반경)가 먼

 것일수록 큰 힘이 필요해집니다.

 이와 같이, 물체가 움직이기 어렵거나 회전하기 어려운 것을 [(부하)관성 모멘트]라고 

  합니다.


[부하관성이 큰 기구 예]

 ARM 구동
 인덱스 구동



출처: https://inaom.tistory.com/353 [모터삼매경]



(7)  모터의  결정


  부하 토크와 허용 부하 관성 모멘트를 비교하여 만족하는 모터를 선정하면 된다.
    조건  중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모터가  회전하지  않을    있으며,
   또한  파손이  있으므로,  모두 만족하는 모터를 선정해야 한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