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자 여러뷴~
디바이스마트 엔지니어 흥프로 입니다~~!!~!
오늘은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해서
간단한 NAS를 만들어 볼껍니다.
Samba라는것을 이용해서 엄청 쉽습니다.!
한번 보시죵!
구성품은 이렇게 준비해주세요!

라즈베리파이 4를 이용하는 이유는!
기가바이트 이더넷을 지원하며
USB 3.0을 지원해서 엄청 빠른 속도로
파일을 주고 받을 수가 있습니다.
물론!!! 기가랜 공유기를 사용하고
CAT.6 이상의 렌케이블을 사용하셔야 하고
USB3.0을 지원하는 스토리지를 사용 하셔야겠죠?
USB 메모리 대신 외장 하드를 사용 하셔도 됩니다.
삼바를 사용하는 이유는!!!
기존에 사용중이던 라즈비안이 설치된 라즈베리파이에
Samba를 이용해서 NAS 기능을 추가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삼바(Samba)가 설치가 완료되면 공유 폴더를 만들어서

해당 공유 폴더를 데스크탑과 공유하는거죠!

다만!!
이 방법은 내부망에서만 사용가능 합니다.
즉 같은 공유기 환경에서 연결이 된다는거죠!

이런식으로 집안에서 같은 공유기에 연결된 제품들끼리는
전부 가능합니다.
집밖으로 나가면 내부망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안된다는 거죠!
라즈베리파이에서 받아 놓은 파일을 집안에선 어떤 기기든
같은 공유기 환경이라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자 그럼 이제 삼바를 설치하는 법을 알아 봅시다.
1. Pi 최신 버전 업데이트 & 업그레이드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upgrade
2. 삼바 설치
$ sudo apt-get install samba samba-common-bin
3. 공유폴더 만들기
$ cd
$ mkdir RPI4_Share
4. 삼바 유저와 패스워드를 설정한다.
$ sudo smbpasswd -a pi
(pi가 유저 아이디입니다.)
5. 삼바 설정
$ sudo nano /etc/samba/smb.conf
6. 최 하단으로 내려가서 아래 명령어 추가
[pi]
comment = pi share folder
path = /home/pi/RPI4_Share
valid users = pi
browseable = yes
guest ok = no
read only = no
create mask = 0777
7. 삼바를 재실행
$ sudo /etc/init.d/samba-ad-dc
이렇게 하면 삼바 설치 및 셋팅이 완료 되었습니다.!!
윈도우 PC 에서 해당 공유 폴더로 접속하는 방법은 !
아래 YouTube를 참고 해주세요!
스마트폰과 연결방법도 나오니 끝까지 시청하시고요!~ㅎㅎ
https://youtu.be/rL3mImXKDfM?t=127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