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대짜이찐입니다.
아두이노를 블록코딩 하는 방법은 몇가지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Scratch for Arduino(S4A)나 엔트리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저는 mBlock이라는 프로그램을 추천드립니다.
mBlock 다운로드 방법은 아래링크의 포스팅을 추천드릴게요.
웹버전의 경우 mLink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되있어야
아두이노와 연결됩니다.
웹버전이 아닌 데스크탑 버전의 경우는 mLink프로그램은 필요없습니다.
저는 윈도우 데스크탑 버전으로 실행해보겠습니다.
mBlock을 실행시켜주시고, 왼쪽 무대 영역에서
아래 쪽에 있는 장치에서 추가 버튼을 눌러 아두이노 우노를 추가해주세요.
mBlock에서 실행 가능한 다른 디바이스들이 보입니다.
여러 종류의 아두이노, 마이크로비트 등을 사용할 수 있어요.
간단하게 아두이노로 LED를 껐다 켰다 하는 BLINK 예제를
블록코딩으로 구현해보겠습니다.
각 카테고리 탭에 있는 블록들을 가져와서 위 이미지와 같이 블록을 쌓아보세요.
이벤트, 핀, 제어 카테고리에 있는 블록들만 사용했습니다.
블록을 다 쌓아서 완성시켰다면,
왼쪽 밑에 연결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렇게 접속가능한 모든 기기표시를 체크하고
아두이노의 포트를 연결할 수있습니다.
물론 아두이노와 PC를 USB로 연결시켜야지 저렇게 포트 번호가 뜹니다.
포트 번호는 장치 관리자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연결을 했다면 업로드 버튼을 눌러 업로드를 시켜주세요.
이렇게 업로드가 진행되면서 업로드가 됩니다.
13번 핀에 연결된 LED를 통해서 블링크가
제대로 업로드된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