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디바이스마트의 미싱노 솔다입니다
종종 리눅스에서 개발을 해야 하는 때가 찾아오는데요
인터프리터의 장점을 십분 활용하여
터미널에서 파이썬 코드를 짧막하게 돌려보기도 용이하고
OS 자체가 오픈소스 친화적이기 때문에
라이브러리나 소스코드 자료가 방대합니다
또한 github 연동이 비교적 손쉽기도 합니다
이런 다양한 장점들이 있지만
개인용 컴퓨터. 즉, PC는 대체로 윈도우가 설치되어있습니다
리눅스와 윈도우를 선택해서 부팅하는
멀티부팅이라는 방법도 있지만 PC를 켤때마다 OS를 선택 하는게
생각보다 번거롭습니다
인공신경망 등의 모델이 들어가면
메모리 문제로 결국 멀티부팅으로 가겠지만
간단한 GUI 제작같은 왠만한 소스코드는 가상머신을 통해 설치한
리눅스 환경에서 충분히 개발 가능합니다
오늘은 가상머신에 리눅스를 설치해보겠습니다
잘 보고 따라오라니까!
-
Step1. 가상머신 설치
본 포스팅에서 설치할 가상머신 프로그램은 버추얼박스(VirtualBox)입니다
프로그램 자체의 라이선스는 GPLv2라서 무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확장팩은 개인 한정 평가 라이센스(PUEL)로 배포중이므로
확장팩을 상업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발생합니다
개인적인 용도로 쓰는것은 라이선스 문제가 없으니
버추얼박스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버추얼박스 공식사이트 링크
위 링크를 통해 공식사이트로 접속합니다
혹시나 눈이 침침하실까봐 다운로드 페이지로 향하는 버튼도
솥뚜껑만하게 만들어놨습니다
버튼을 눌러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저는 윈도우를 사용하므로 [Windows hosts]를 눌러 윈도우버전으로 설치하겠습니다
설치파일이 다운로드 완료되었습니다
고민할 거 없이 무지성으로 실행해줍니다
설치는 별거 없습니다
이제 인스톨러가 시키는대로만 하시면 됩니다
애드웨어같은걸 끼워서 설치하거나 하지 않는 착한 프로그램입니다
설치경로랑 설치할 항목들인데
특별히 관리하실게 아니라면 그냥 넘어가줍니다
바탕화면에 아이콘 만들지 '시작'에 아이콘 만들지
레지스터파일을 연결할건지 그런건데
원하시는대로 체크해주시고 넘어가줍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치중에는
네트워크가 잠깐 끊길 수 있다는 경고입니다
네트워크가 끊어지면 안되는 서버거나 하면 유의해줍시다
일반적인 PC기준으로는 잠깐 네트워크 끊기는거 말고는 문제 없습니다
설치준비가 완료되었다고 하니 그대로 진행합니다
설치중 스크린샷 한컷...
설치가 완료되면 버추얼박스를 실행할거냐는 체크박스가 있습니다
어떻게 생겼는지 한번 실행해봅시다
커여운 뗑컨 한마리가 커엽지 않은 함마를 들고 있습니다
지금은 잘 켜지는지만 확인하면 되니까
펭귄과 눈 마주치기 전에 일단 종료시켜줍시다
-
Step2. 우분투 다운로드
가상머신을 통해 리눅스를 설치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가상머신은 일종의 '했다치고'지만 OS설치에는 진심인 편입니다
그래서 해당 OS의 iso파일이 필요합니다
iso란 CD나 DVD의 디스크를 이미지화 시켜 그대로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놓은 것입니다
iso도 일종의 '했다치고'라고 할 수 있겠네요
결국 필요한건 리눅스 ios파일입니다
근데 리눅스라고 해도 현재 배포중인 종류가 무진장 많습니다
라즈베리파이OS인 라즈비안의 기반이 된 데비안
한때 컴공과의 리눅스 입문 교보재였다가 지금은 역사의 뒤안길로 묻히고 있는 페도라
각종 파생 버전들이 유독 많고 자신 역시 데비안에서 파생된 우분투
본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배포판 중 우분투를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날에는 우분투가 과거의 페도라의 자리를 대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어디서 리눅스를 배울 기회가 있다면 왠만하면 우분투로 입문하시게 될겁니다
우분투 공식사이트 링크
공식사이트의 첫 화면입니다
중상단의 배너는 매번 바뀌니까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버추얼박스와는 다르게 다운로드링크가 따로 안내되어있지 않습니다
상단의 [Download]를 누릅니다
빨간화살표가 가리키는 [20.04 LTS]를 눌러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포스팅 작성일 기준 최신버전입니다
옆에 21.04가 최신버전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그말도 맞습니다
20.04는 LTS로 공인된 최신버전이고 LTS는 한동안 지원해주겠다는 뜻입니다
반면 21.04는 아직 개발 및 안정화중인 베타버전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되시겠습니다
이런 페이지로 이동되고 잠깐 기다리시면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2GB가 넘기 때문에 시간이 좀 걸릴 수 있습니다
아래서는 항목별로 점수를 매겨서 자발적으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
우분투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하시거나 기부를 하시고 싶으신 분들은
자발적요금을 지불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1점당 1불인데 가격에 따라 비슷한 가치의 물건으로 비유해줍니다
$15일 때 고질라 DVD라던가 $201일 때는 뉴욕발 런던행 편도티켓 이라던가
결제하는 사람들도 기분 좋게 잘 만들어 놓은 것 같습니다
꿀잼 솔다 포스팅을 보시다보면 어느새 다운로드가 완료되어있습니다
저는 라즈베리파이 피코용으로 사용할 예정이라서
폴더를 옮겨줬습니다
-
Step3. 가상머신 생성
아이콘으로 실행하시던 [시작]에서 버추얼박스를 검색해서 실행하시던 실행해줍시다
사용하실 이름을 기재해줍니다
저는 [피코]로 하려교합니다
아무렇게나 지으셔도 됩니다
운영체제는 [리눅스]를 선택해줍시다
버전은 [우분투 (64bit)]를 선택해주시면됩니다
설정이 끝났으면 [다음]을 눌러 진행합니다
가상머신의 메모리를 할당해줍니다
메모리가 왠만큼 낮지 않으시면 2048MB까지는 맞춰줍니다
설정하셨다면 [다음]을 눌러 진행합니다
이제는 가상 하드디스크를 추가해야됩니다
기존에 가상머신을 운용하셨다면 해당 하드디스크 파일을 같이 쓰던지 하실 수 있는데
그럴리가 없으므로 [새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를 선택하고 [만들기]를 눌러줍니다
가상 하드디스크는 파일로 저장이 되는데
세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으시다면 default인 [VDI]로 생성해줍니다
저는 용량이 여의치 않아서 [동적 할당]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용량에 여유가 있으시다면 [고정 크기]를 사용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용량은 필요하신만큼 지정해주시면 되시겠습니다
저는 특별히 멀티미디어를 다루지는 않을 예정이라서
기본값인 10GB로 진행했습니다
여기까지 하셨다면 가상머신 설정은 끝났습니다
이제 컴퓨터 속에 가상의 컴퓨터가 만들어진겁니다
-
Step4. 우분투 설치
이제 컴퓨터가 생성됐다 치고
가상으로 만들어진 컴퓨터에 OS를 설치할 차례입니다
화살표가 가리키는 [비어 있음] 텍스트를 눌러줍니다
[디스크 파일 선택]을 눌러줍니다
앞서 받아놨던 우분투 iso파일을 선택해줍니다
그러면 아까 [비어 있음]이었던 자리가
iso파일명으로 채워져있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iso가 CD를 가상화 해놓은 파일이라고 했으니까
가상으로 만든 컴퓨터에 가상으로 CD를 넣은 셈입니다
이제 가상의 컴퓨터를 실행시켜줍니다
[시작]을 눌러줍니다
키고나서 잠시 기다리면 이런 화면이 나옵니다
일단 기다려줍시다
기다리다보면 혼자서 계속 화면이 바뀌고 로딩도 하고 그럽니다
이런 화면이 나올때까지 기다리시면 됩니다
언어를 선택하고나서 우분투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언어 목록에서 아름다운 우리 글씨 한글을 선택해줍시다
문자가 아니라 언어라서 한국어라고 써있네요(무안)
리스트의 거의 맨 끝에 있습니다
[우분투 설치]를 눌러 설치를 진행해줍시다
키보드 레이아웃은 위와같이 선택해줍니다
[계속하기]를 눌러주세요
기본적으로 위와같이 선택되어 있는데
특별히 가볍게 써야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저대로 설치해줍시다
파티션 선택이랑 포멧 단계입니다
설치형식은 그대로 하겠습니다
똑똑하게도 알아서 파티션을 포멧합니다
표준시 지역을 선택해줍니다
우리나라에 거주중이시라면 서울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이름이랑 암호를 정해주시면됩니다
어짜피 자주 쓸거고 보안도 딱히 신경쓸게 없어서
암호도 간단하게 하고 로그인도 자동으로 했습니다
이제부터 지루한 시간입니다
배그나 롤 한판 돌리시거나
댕꿀잼 솔다 포스팅을 구경하시면서 시간을 보내주시면 됩니다
설치가 다 되었다고 하니 다시시작을 해줍시다
다시 켜면 엔터를 눌러달라고 할 수도 있으니 요청에 따라 엔터를 눌러줍시다
(스크린샷을 못찍었습니다ㅠㅠ)
정상적으로 재시작하고나면 이런식으로 나오는데
계정 연동하시려면 연동하셔도 좋습니다
라이브패치 설정인데 가상머신을 서버처럼 쓸것도 아니니
그냥 넘어가시면 되시겠습니다
우분투 개선을 위한 정보 보내기인데
기호에 따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자주 사용할건 아니라서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위치기반 정보도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우분투 소프트웨어]라는 어플스토어같은게 있는데
거기서 추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보여줍니다
필요한게 있다면 설치하시면 좋습니다
그리고나면 언어지원이 불완전하다고합니다
[이 동작을 실행(R)]을 누르시면 알아서 추가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I)]를 눌러 진행합니다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설치인가봅니다
아까 설정한 암호를 입력해줍니다
그럼 이런식으로 설치하는 과정이 나옵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이런 화면이 나옵니다
이제 가상머신에 우분투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필요한 통합개발활경을 설치하여 활용하시면 됩니다
-
지금까지 윈도우에서 가상머신으로 리눅스를 설치해봤습니다
지루한과정 끝까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머신러닝 관련된 Open계통의 라이브러리를 쓰실때에
아무래도 리눅스가 접근성이 좋기 때문인지
리눅스를 접할 기회가 많아진 것 같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댓글